본문 바로가기
Economy

옥석가리기 (feat. 한남더힐)

by AsYouFeel 2023. 3. 15.
728x90
반응형

2022년 6월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실거래 1건이 올라왔습니다.

바로 한남동 한남더힐입니다.

아래 짤은 한동안 유명했었죠.

한남더힐 퇴근길 /출처-온라인커뮤니티

 

한남더힐에는 대기업 회장, 연예인 등 재력가들이 모여사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로얄동은 한강 조망이 가능하고, 단지 자체 보안 시스템이 상당히 잘되어 있다고 합니다.

이번 거래는 직전 거래가격 대비 상당히 큰 폭으로 오른 신고가입니다.

 

출처 :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앱

 

직전 거래가격인 83.5억도 일반 직장인들에게는 엄청난 금액입니다.

만약 한남더힐을 살 돈을 모았다고 가정해봅니다.

그럼 집을 구매할때 내는 취등록세, 살면서 내야하는 연간 보유세는 얼마일까요?

참고로 집 가격이 커지면 취등록세, 보유세 또한 비례해서 커지게 됩니다.

과연 내 회사월급으로 감당할 수 있을지 궁금해집니다.

집은 대출없이 구매했다는 가정입니다.

 

아래 표는 홈택스 간이 계산기로 2023년도 한남더힐 240m2 중층 구매한다는 가정하에

납부하는 산출한 예상 종합부동산세입니다.

취등록세가 약 7500만원입니다.

집 구매 후 납부해야할 금액이며, 복비, 세무는 별도입니다. 할부 가능합니다.

출처 : Hometax  https://hometax.go.kr/websquare/websquare.wq?w2xPath=/ui/pp/index_pp.xml
 
 

일단 집을 소유하고 취등록세를 납부하여 등기등록을 마쳤습니다.

그렇게 집에 입주하게 되었고, 7월이 되니 재산세(보유세) 고지서가 날라왔습니다.

 재산세가 27,685,800 원이 나왔군요..

참고로 재산세는 일년에 두 번 납부하며, 이번 7월에 2700만원내고, 두 달뒤인 9월에 다시 같은 금액의 재산세 고지서가 도착합니다..

연간 보유세 한남더힐 / 출처-자체계산 using knowingasset.com 계산기

위 연간 5500만원 수치는 아래 재산세 + 종부세 의 합의 결과입니다.

고가 주택의 경우 *종합부동산세가 별도로 붙게 됩니다.

*과세기준일(매년 6월 1일) 현재 주택분 재산세의 납세의무자로서 국내에 있는 재산세 과세대상인 주택의 공시가격을 합산한 금액이 6억원(개인의 경우 세대별로 합산한 금액을 말하며, 이하 “주택분 과세기준금액”이라 한다)을 초과하는 자는 종합부동산세를 납부할 의무가 있음.

한남더힐 2023년도 240m2 보유세 /출처-자체계산 using knowingasset.com 계산기

 

올해 내야하는 보유 재산세만 55,371,600원..

12개월로 나누면 매달 4,614,300원이 세금으로 나가는 셈입니다.

일반 회사원 월급에 맞먹는 수치입니다.

여기에 관리비, 기타 비용은 별도입니다.

 

2023년 3월 호가는 아래와 같습니다..
출처 : 네이버 부동산 코너
 
 

크게 떨어지지도 오르지도 않고 약 100억원에 가까운 금액에 전용 85.9평 매물이 검색되어 집니다.

다른 지역은 반토막 난 곳도 흔한 상황인데 정말 대단한 방어력 입니다.

내년 이맘때쯤엔 또 어떤 상황일지 궁금합니다.

 

 

728x90
반응형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댓글